git

#버전 깃에서 버전이란 문서를 수정하고 저장할 때마다 생기는 것 버전을 만든 시간과 수정 내용까지 기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깃과 같은 버전관리 시스템

스테이지에 변경 사항 올리기

$ git add [파일 이름]
  • 작업 트리에서 파일을 만들거나 수정했다면 스테이지에 추가
  • 깃에게 버전 만들 준비를 하라고 알려 주는 것을 스테이징(staging)또는 스테이지에 올린다라고 표현
$ git add .
  • 작업 트리에 있는 수정 파일들을 스테이지에 한꺼번에 올릴 수 있음

깃 기록 확인

$ git log

한줄로 간단하게 표시

$ git log --oneline

다른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알 수 있음

$ git log --oneline --branches
  • 원래는 표시가 되지만 가지가 갈라질 때 다른 가지에 최신 커밋의 브런치를 볼 수 있게 해준다.

그래프 형태로 보는법

$ git log --oneline --branches --graph

브랜치 간의 차이점

$ git log [브랜치1]..[브랜치2]
  • [브랜치1]에 없고 [브랜치2]에만 아있는 브런치를 보여준다.

모든 로그 출력

$ git log --all
  • 최신 뿐만 아니라 모든 로그를 출력
$ git log --stat

가장 최근 커밋부터 수넛대로 커밋 메시지와 관련 파일이 나열됩니다.

#깃 생성 $ git init

#깃 상태 확인 $ git status

#스테이징한 파일 커밋하기 $ git commit -m [커밋 메세지] 스테이징 영역에 있다면 버전을 만들 수 있음 커밋(commit)한다 : 버전을 만드는 것

스테이징과 커밋 한꺼번에 처리하기

$ git commit -am [커밋 메세지] ##한 번이라도 커밋한 적이 있는 파일을 다시 커밋할때 사용 가능

#방금 커밋한 메시지 수정 $ git commit –amend

되돌리기

작업 트리에서 수정한 파일 되돌리기

$git restore [수정된 파일]

스테이징 되돌리기

$ git restore –staged

  • add한 정보를 다시 돌린다.

##되돌리기 팁 $ git status 를 입력한 경우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: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
#커밋 되돌리기

방금 커밋 되돌리기

$ git reset HEAD^

원하는 위치로 커밋

$ git reset –hard [커밋 해시]

#변경 이력 취소

#변경 사항 확인하기 $ git diff

#tracked 파일과 untracked 파일 $git status

#브랜치 ##확인 $git branch ##생성 $git branch [브랜치 이름]

##부가 설명

  • log를 통해소 현재 버전에 브랜치확인 가능(HEAD -> 브랜치들)
  • HEAD옆 브랜치들이 모든 버전을 고유하고 있음

##브랜치 전환 $ git switch [생성된 브랜치 이름]

##브랜치 합병 $ git merge [합병할 브랜치]

  • 현재 브랜치에 [합병할 브랜치]를 가져와 붙인다
  • 이때 “Merge branch ‘[합병할 브랜치 이름]’“이렇게 커밋된다

##브랜치 삭제 $ git branch -d [브랜치 이름]

  • 삭제되더라도 다시 만들면 이전 작업이 그대로 만들어짐

Changes not staged for commit: modified: [내용 변경 파일] new file: [스테이징된 파일] Untracked files: [새로 만든 파일]

#파일 상태

M

M = modifie ‘수정한다.’

U

U = Unmerged

A

Added

#설정변경

터미널 창 -> 페이지로 변경 가능

$ git config –global core.editor “code –wait”

#정보

##2줄 한꺼번에 정의 $ [1번째 문장]; [2번째 문장]

  • ;(세미컬론)을 이용하여 2 문장을 한번에 사용 가능

##merge 충돌 112쪽

##cherry-pick 병합 117쪽 cherry-pick은 main 브랜치와 topic 브랜치를 합치지만 브랜치 전체가 아니라 topic 중에서 특정 버전의 변경 내용만 합침 $ git cherry-pick [복사한_커밋_해시]

#git-hub 136쪽

##깃 허브 저장소에 연결하기 $ git remote add origin [깃허브 주소]

##깃 허브 연결 확인 $ git remote -v

##깃 허브 $ git push -u origin main 원격 저장소의 main브런치로 푸시

##깃 허브에 넣기 $ git push

##깃 허브에서 내용 추가 p147

##깃 허브 내용 내려받기 $ git pull origin main

#SSH 원격 접속하기 p154 - 나중에 확인

# ##tocuh 파일생성

추가

$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--force
  • 가제 덮어쓰기

내용 보기

$git fetch -all

안전한 강제 푸시(추천)

$git push --force-with-lease origin main

results matching ""

    No results matching ""